'이정효 매직' 광주, 또 새 역사!…부천 꺾고 사상 첫 코리아컵 '결승행'→'더블 도전' 전북과 결승 격돌 > 스포츠 뉴스

본문 바로가기




b87d35bec92f621dc6b0ea3a82bf2e25_1739253138_4841.png

스포츠 뉴스

'이정효 매직' 광주, 또 새 역사!…부천 꺾고 사상 첫 코리아컵 '결승행'→'더블 도전' 전북과 결승 격돌

본문

1fb7dd90fc5d12ba9e1f9227aefab3db_1756303042_4271.jpg
 

광주FC가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코리아컵 결승전 무대를 밟는다.


이정효 감독 부임 후 계속해서 새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는 광주가 이번에는 사상 첫 코리아컵 결승 진출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광주의 결승전 상대는 강원FC와의 경기를 뒤집고 올라온 전북 현대다. 결승전은 오는 12월6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단판 승부로 열린다.


광주FC는 27일 부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부천FC와의 2025 하나은행 코리아컵 준결승 2차전에서 선제골을 허용하고도 조성권과 신창무의 연속 득점으로 2-1 역전승을 거뒀다.


앞서 지난 20일 홈 1차전에서 2-0으로 승리한 광주는 합산 스코어 4-1로 대회 결승에 진출,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코리아컵 결승에 진출했다.


쉬운 여정은 아니었다. 


16강전에서 승부차기 혈투 끝에 수원FC를 제압한 광주는 8강에서 K리그 대표 강호 울산HD를 만나 1-0 신승을 거두며 2년 연속 코리아컵 4강에 올랐다.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 정지훈과 헤이스의 골을 앞세워 2-0으로 승리했지만, 2차전이었던 부천 원정에서 전반전 선제골을 헌납하며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광주는 후반전에만 내리 두 골을 집어넣으면서 경기를 뒤집었고, 합산 스코어 4-1 쾌승으로 사상 첫 결승 진출이라는 역사를 만들었다.


이날 홈팀 부천은 3-4-3 전형을 꺼냈다. 김현엽이 골문을 지켰고 , 이재원, 이상혁, 이예찬이 후방에서 호흡을 맞췄다. 측면에는 김규민과 장시영이, 중원에는 박현빈과 카즈가 배치됐다. 갈레고, 이의형, 김동현이 최전방에서 공격을 이었다.


광주는 4-4-2 전형으로 맞섰다. 김경민이 골키퍼 장갑을 착용했고, 하승운, 진시우, 변준수, 조성권이 백4를 구축했다. 미드필드는 오후성, 유제호, 이강현, 정지훈으로 구성됐다. 프리드욘슨과 문민서가 투톱을 이뤘다.


이영민 감독이 예고한 대로 부천은 초반부터 강하게 밀어붙였다. 전반 5분 갈레고가 중앙선 부근부터 직접 공을 몰고 전진했고, 먼 위치에서 과감한 왼발 강슛을 날렸으나 위로 높게 떴다. 


광주는 전방의 프리드욘슨의 포스트 플레이를 활용해 경기를 풀어나가려고 했으나 부천의 타이트한 압박에 고전했다. 부천은 공을 빼앗은 직후 전방의 공격 자원들을 앞세운 빠른 역습으로 광주를 괴롭혔다. 


부천이 다시 한 번 광주 골문을 위협했다. 전반 17분 광주 수비가 멀리 걷어내지 못한 공을 잡은 이상혁이 쏜 강력한 오른발 중거리포가 광주 골문 구석으로 향했다. 김경민이 쳐내지 않았다면 득점이 될 수 있을 만한 슈팅이었다.

계속 부천의 흐름이었다. 전반 24분 박현빈이 왼쪽 측면 뒷공간으로 크게 열어준 공이 김규민을 거쳐 김동현에게 향했다. 김동현은 페널티지역 왼편에서 오른발 감아차기를 시도했지만 김동현의 슈팅은 위로 살짝 떴다.

전반 33분에는 갈레고가 광주 페널티지역 앞에서 동료와 패스를 주고 받은 뒤 왼발 슈팅을 때려봤지만 김경민의 품에 안겼다. 

광주는 측면을 통해 공격을 전개한 뒤 크로스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활로를 찾으려고 했지만, 크로스의 정확도가 떨어지면서 이렇다 할 장면을 만들지 못했다. 그나마 전반 42분 오후성의 슈팅이 나왔지만, 이 슈팅은 이재원에게 맞고 나갔다.

전반전 추가시간은 4분이 주어졌다.

전반전 내내 광주 골문을 두드렸던 부천이 기어코 전반전이 끝나기 전 선제골을 뽑아냈다. 전반 추가시간 1분 갈레고의 중거리슛을 김경민이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고, 골문으로 쇄도하던 이의형이 밀어 넣으며 광주 골네트를 갈랐다. 이의형의 득점으로 합산 스코어는 1-2가 됐다.
광주는 전반 추가시간 3분 문전에서 나온 프리드욘슨의 헤더로 동점골을 노렸지만, 공이 골문을 외면하면서 아쉬움을 삼켰다. 부천은 전반 추가시간 5분경 프리킥 상황에서 이예찬이 기회를 놓쳐 땅을 쳤다.

전반전은 부천이 격차를 한 골 차이로 좁힌 채 종료됐다.

선제골을 허용한 광주가 먼저 교체카드를 꺼냈다. 광주는 프리드욘슨을 대신해 헤이스를 투입하고 후반전의 문을 열었다.

전반전과 달리 초반부터 흐름을 가져온 광주는 후반 11분 경기 균형을 맞추며 부천의 추격을 뿌리쳤다. 공이 헤이스를 거쳐 오른쪽 측면의 정지훈에게 연결됐고, 정지훈이 문전으로 올린 크로스를 공격에 가담한 조성권이 높게 뛰어올라 머리로 내려찍으며 동점골을 만들어냈다.

부천은 동점골을 내준 뒤 후반 14분 김규민과 박현빈을 불러들이고 최재영과 티아깅요를 투입했다. 

부천의 교체는 최재영과 티아깅요에서 그치지 않았다. 후반 22분에는 바사니와 몬타뇨가 이의형, 카즈와 교체됐다. 광주는 정지훈과 유제호를 최경록, 신창무로 교체하면서 맞불을 놓았다. 이후 부천은 후반 29분 갈레고를 박창준과 바꿔 공격의 고삐를 세게 쥐었다.

그러나 정작 교체카드로 재미를 본 쪽은 광주였다. 광주는 후반 35분 신창무의 추가 득점으로 부천을 따돌렸다. 페널티지역 왼편에서 신창무가 때린 슈팅이 이상혁 맞고 굴절돼 부천 골문 안으로 들어간 것이다.

광주는 추가 득점 이후 진시우를 안영규와 교체해 수비에 집중했다.

후반전 막바지는 광주가 경기를 주도했다. 광주는 후반 42분과 44분 신창무의 슈팅으로 추가 득점을 노렸지만 기회가 무산됐다.

후반전 추가시간은 10분. 부천도 경기 막판까지 한 골이라도 만회하기 위해 분투했으나 이미 벌어진 차이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경기는 광주의 2-1 승리로 끝났다. 사상 첫 결승전 진출이라는 새로운 역사를 쓴 팀은 광주였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팔로워
팔로잉
스크랩
내글반응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