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km 던지는 'ERA 1.69' 강속구 셋업맨, 그런데 태극마크 달 수 있다고? '필승조 안착' 한국계 오브라이언, WBC 차출될까 > 스포츠 뉴스

본문 바로가기




b87d35bec92f621dc6b0ea3a82bf2e25_1739253138_4841.png

스포츠 뉴스

161km 던지는 'ERA 1.69' 강속구 셋업맨, 그런데 태극마크 달 수 있다고? '필승조 안착' 한국계 오브라이언, WBC 차출될까

본문

e7ddb8b452274bfa5974ed0d05c3ef4d_1756526808_8714.jpg



메이저리그(MLB) 무대에서 시속 100마일(약 161km)에 육박하는 공을 앞세워 호투하는 셋업맨이 태극마크를 달지도 모른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라일리 오브라이언은 29일(이하 한국시각)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부시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MLB 정규시즌 피츠버그 파이리츠와의 홈 경기에 등판해 1이닝 1사구 무실점을 기록했다.


e7ddb8b452274bfa5974ed0d05c3ef4d_1756526809_1092.jpg

오브라이언은 팀이 4-1로 앞선 8회 초 '셋업맨' 역할로 출격했다. 브라이언 레이놀즈를 5구 만에 좌익수 뜬공으로 잡았고, 이어 닉 곤잘레스도 3구 만에 유격수 뜬공 처리하며 빠르게 아웃 카운트를 늘렸다.

이후 오닐 크루스에게 던진 초구 커브가 몸에 맞는 공이 됐고, 이어 도루까지 허용하며 득점권 위기에 놓였다. 하지만 오브라이언은 침착하게 조이 바트를 1루수 땅볼로 잡고 이닝을 마쳤다. 9회에는 마무리 투수 조조 로메로가 올라와 3점 차 승리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이날 홀드를 수확하면서 오브라이언의 올 시즌 빅리그 성적은 31경기 37⅓이닝 2승 2세이브 6홀드 평균자책점 1.69가 됐다. 지난달 1점대에 진입한 평균자책점이 다시 오르지 않고 좋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e7ddb8b452274bfa5974ed0d05c3ef4d_1756526809_3399.jpg


오브라이언은 비교적 늦게 빛을 보고 있는 선수다. 2017 MLB 신인드래프트 8라운드에서 탬파베이 레이스에 지명됐고, 2020년 신시내티 레즈로 트레이드됐다. 2021년에 빅리그 데뷔까지 성공했으나 이후 별다른 활약을 남기지 못했다.

지난해까지 오브라이언은 신시내티와 시애틀 매리너스를 거쳐 세인트루이스에 이르기까지 통산 10경기에서 평균자책점 10.45(10⅓이닝 12실점)라는 초라한 성적만 남겼다. 그나마 마이너 리그 무대에서는 좋은 성과를 남겨 방출은 면했다.

그러다 올 시즌 만 30세의 나이로 뒤늦게 잠재력을 만개했다. 최고 시속 100.5마일(약 161.7km)의 빠른 싱커를 앞세워 빅리그 타자들을 요리하기 시작했다. 당초 추격조로 기용됐으나 주력 불펜 요원들이 이탈하면서 이제 어엿한 필승조로 발돋움했다.


중요한 건 본인의 의향이다. 2023년 대회 당시 롭 레프스나이더나 미치 화이트처럼 가정사나 구단 상황 등을 이유로 본인 의사와 별개로 불참을 택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오브라이언처럼 MLB 로스터 입지가 불안하면 소집을 고사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주목할 점이다.

다만 올 시즌 필승조로 성장해 로스터 한자리를 제대로 꿰찼고, 오브라이언 본인이 대표팀 합류에 긍정적인 의사를 그간 밝혀온 만큼 소집 가능성은 상당히 크다. 오브라이언이 태극마크를 달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길 바라는 팬들이 많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팔로워
팔로잉
스크랩
내글반응
다크모드